출처: 나무위키
돌산터널을 내려가면 나오는 마을이다. 블루시티에서 무지개시티 사이에 있는 마을로, BGM이 꽤 으스스하다. 유튜브 등지에서 보라타운 브금을 찾아보면 영어로 "어린 시절엔 보라타운이 참 불쾌했다." 등의 댓글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단, 금은 버젼을 정식 한국어 유통판으로 시작했던 한국 유저들은 제외.[2] 이름에 걸맞게 색깔도 보라색이라서 음침하다. 플래시 없이는 사방이 캄캄한 던전을 나오자마자 이런 어두침침한 사운드트랙이 두 손 활짝 펼쳐 반겨주기 때문에 기분이 좋지 않다. 체육관이 없기 때문에 체육관 배틀은 없다. 주로 고스트 타입이 나오는 포켓몬타워가 자리잡고 있다. BGM이 싫으면 자전거에 타면 된다. 1세대 한정으로 자전거를 타면 다른 도시로 넘어와도 자전거 BGM이 계속 유지된다.
정발판의 마을 이름 중 유일하게 일본판처럼 '~타운' 접미사를 유지하고 있다.
특별대우
원래라면 보라마을이 되었어야 한다. 이런 부조리함은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 한 번 더 재현된다. 이쪽은 시티 → 도시인 상황이니 그 반대인 케이스다. 덧붙여 보라타운은 호연 지방의 도시 중 하나인 보라시티와는 전혀 무관한 곳이다.[3]
Twitch Plays Pokémon/시즌 1에서는 로켓단아지트와 같이 최악의 난코스로 악명이 높았다. [4] 자세한건 항목 참조. 그 후로 1년이 지나고 역사는 반복되었다.
2세대인 금은 버전에서는 포켓몬타워가 관동 라디오탑이 되었고, 포켓몬 묘지도 조그마하게 바뀌었다. 파이어레드와 리프그린, 하트골드와 소울실버 버젼에서는 크게 달라진 점이 없는 편.
2.1. 게임[편집]
1세대와 리메이크 버전에선 위에서 서술했듯이 돌산터널을 통과하면 올 수 있다. 처음 여기에 왔을 때 포켓몬타워에 유령이 나온다는 괴담이 퍼져있다.
분위기부터 영 좋지 않다.
잘 들어 보면 로켓단이 돈을 벌기 위해 탕구리를 잡으려고 했는데, 어미 텅구리가 탕구리를 지키려다 죽어 유령이 되었다고 한다.
차라리 텅구리를 잡지
포켓몬이 직접적으로 죽었다는 묘사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때다. 설상가상 버려진 포켓몬을 돌봐준다는 등나무 노인도 로켓단에게 납치된 상황. 소문대로 포켓몬타워는 7층 앞에 유령이 길막하고 있어 못 올라간다.[5] 그러나 유령의 정체를 볼 수 있게 해준다는 실프스코프 광고를 이 마을에서 볼 수 있다. 일단 무지개시티로 먼저 가야 한다. 그리고 비주기를 이기고 실프스코프를 획득하고 다시와서 길막하는 유령의 정체를 꿰뚫으면 텅구리로 정체가 드러난다. 이 텅구리는 이미 죽어 잡을 수 없다. 쓰러뜨리면 유령은 무사히 승천했다고 한다. 위층의 로켓단까지 상대하면 등나무 노인을 구하게 되고, 보상으로 잠든 포켓몬을 깨운다는 포켓몬 피리를 준다. 이걸 이용해 길막하고 있는 잠만보를 깨울 수 있다. 그러면 연분홍시티로 갈 수 있게 된다.
BGM도 그리 탐탁치 않은 곳인데 퍼져있는 소문도 포켓몬이 죽었다는 등 여러모로 소름끼친 곳이다. 그런데도 스토리 상으로 최소 한 번은 가야 되는 등 스토리 상의 중요도는 높다.[6]
이렇게 무서운 곳을 가게 하다니, 그래도 다신 안 와도 앞으로 큰 문제는 없다는 건 함정.[7]
2세대와 그 리메이크 버전에서도 엔딩 후 스토리에 큰 비중이 있는 곳이다. 이곳의 라디오탑에서 발전소 사건을 해결하면 라디오탑 국장이 포켓몬 피리가 나오는 확장 카드를 주기 때문이다. 전작처럼 그 피리음악을 이용해서 잠만보를 깨울 수 있다. 그러면 디그다의 굴을 통해 관동지방 서쪽(태초마을이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다.
2세대 등나무노인의 집에 있는 여자는 등나무노인만 들어갈수 있는 방이 있다고 언급 하지만 그대로 맥거핀화 됐다.
2.2. 애니메이션[편집]
일단, 하나도 안 무섭다.
물론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에서도 보라타운이 나온다. 일단 나오는 계기는, 호러 에피소드였던 노랑시티의 체육관 관장 초련과의 배틀에서 피카츄가 초련의 윤겔라에게 패하고 초능력의 공포를 경험한 지우 일행은 초련에게 잡힐 위기에 처하지만, 초련의 아버지가 등장해 지우 일행을 텔레포트로 탈출시킨 후, 초련의 초능력은 이길 자가 없으니 노랑시티 체육관만큼은 절대로 도전하지 말고 우회하라고 한다.[8]
그러나 지우의 근성에 두 손을 든 초련의 아버지가 유일하게 에스퍼 포켓몬에 대항 가능한 보라타운의 고스트 포켓몬을 잡아오는 것이 승리의 열쇠라는 말을 남긴다. 그러나 1세대 당시에는 프로그램 미스로 고스트 공격이 에스퍼에게 통하지 않고, 오히려 고스트 포켓몬들이 독 타입을 가지고 있어 에스퍼에게 털리기나 했었다. 물론 당시엔 에스퍼가 워낙 강했고, 고스트 기술이 핥기와 나이트헤드 뿐인 것도 문제 중 하나
애니메이션의 보라타운은 좀 다른데 아무래도 아동을 위한 애니메이션이다보니 호러스러운 요소를 전부 없앴다. 쉽게 말하면 BGM도, 분위기도 오히려 초련이 있는 노랑시티가 더 무섭게 연출된다.[9] 애니메이션의 보라타운은 무섭지가 않다…….
포켓몬들의 묘지가 아니라 그냥 오래된 저택이 있는, 바로 유령 포켓몬이 살고 있는 곳이라는 설정이다. 무당이고 뭐고는 없다. 사람이 아무도 없으며, 그저 장난을 좋아하는 고오스, 고우스트, 팬텀만이 살고 있었다. 고우스트가 지우를 마음에 들어해 쫓아오나 그저 개그만 펼치다가 결국 시합을 망쳐놓아 이런저런 일로 초련이 자아를 되찾고 지우가 배지를 얻게 된다.
하지만 본편과 달리, 포켓몬스터 디 오리진에서는 나름 텅구리 사살(…) 사건과 그 악명을 고려해서인지(…) 꽤 비중이 높게 나온다. 그리고 게임판에는 못 미치지만 나름 공포스러운 곳으로 등장한다.
!
최대의 백미는 포켓몬 센터에서 대화하던 남녀가 유령이 보인다고 하더니 갑자기 사라져버리는 장면.
띠-띠-띠↗띠↘띠➡띠➡띠이➡
3. BGM[편집]
- 베타 버전: 사용자에 따라 혐오감을 느낄 수 있다. 해당 bgm은 널리 알려진 1세대의 그것과 뼈대는 유사하나 기본 멜로디의 톤이 훨씬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시끄러운 소음이 끼얹어진 느낌이다. 중간에 백색소음 비슷하게 칙칙거리는 부분이 갑자기 튀어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해당 동영상의 추천 동영상중 가장 위에 보이는 것이 shirtfag 항목에 서술되어 있는 '피눈물 흘리는 푸린'이며, 동영상에 있는 좀비 비스무리하게 생긴 것은 국내에서 흔히 '버리맨'이라고 알려진 'buried alive'라는 것이다. 다만 하얀손과 함께 이건 진짜로 그냥 실없는 괴담에 불과. 다만 세간에는 이 버전이 베타버전에서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게임보이 하드웨어 성능상 결코 이런 소리를 낼 수 없다.[11]
- 1세대 보라타운 BGM. 수정 이전 초창기 일본판 버전 마을 BGM이다.
- 30분 버젼
듣다보면 중독된다.
2세대에서 관동지방으로 들어와 보라타운에 가보면 으스스했던 BGM도 부드러운 느낌으로 바뀌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평화로운 분위기의 곡. 다만 도입부만은 1세대의 그것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는데, 사실 예전처럼 찝찝한 느낌인 것처럼 보이게 한뒤 곡의 분위기가 평화롭게 바뀌는 부분에서 1세대부터 즐겨온 유저들을 골려주려는 일종의 낚시이다. 직접 들어보자.#
1세대의 리메이크인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선 오리지널의 BGM의 무드를 그대로 가져와 32비트 음원에서 그 어두운 분위기를 다시 감상이 가능하다. 다만 기존 8비트 음원에서 32비트가 되면서 게임보이가 내던 뭔가 잘못된 음악을 듣는 듯한 느낌이 줄어들고 공포, 미스터리한 면을 강조됐다. 이것때문에 기존 8비트 음원이 그립다고 하는 유저들도 많다.(...)#
2세대의 리메이크인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의 BGM은 원작 골드 실버의 브금을 계승해 파이어레드와 리프그린과 달리 여전히 훈훈한 느낌이다.# 30분 버전
정리하자면 1세대 음악은 그 괴롭게 반복되는 고주파 노트가 문제였다. 8비트로 그런 음을 내니 멜로디는 둘째 치고 일단 듣다보니 머리도 아프고, 보라타운 자체도 공략을 모르면 헤메는 곳이라 여러 가지가 시너지를 일으켜 아래와 같은 괴담도 탄생하게 된 것. 앞으로 나올 수 있는 새로운 버전에서 이곳이 다시 나온다면 BGM이 어떻게 리메이크 될지 관건이 되겠다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00층 올라가기 - 윈도우맨 (0) | 2024.07.21 |
|---|---|
| 포켓몬 타입 상성 문제점들 (0) | 2022.10.20 |
| 플래시- 플랫포마 게임 모음 (2) | 2022.05.01 |
| 테일즈위버- second run (0) | 2016.09.30 |
| 성도지방 (0) | 2016.05.08 |
| 메이플스토리 추억의 길, 시간의 신전 (0) | 2016.01.02 |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에서의 그란돈(나무위키 펌) (0) | 2015.12.19 |
| 메이플스토리 수련의 숲 (0) | 2015.12.12 |



